정부 직접 일자리 사업 일당 7만원 중장년 모집 일당 7만원
내일부터 중장년 대상의 정부 직접지원 일자리 사업을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이전에 정부에서 발표한 ‘한국형 뉴딜 종합계획’에 대해 알아봐야 합니다.
{한국형 뉴딜 종합계획}
코로나19로 인해 실생활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정부는 작년 7월에
‘한국형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 했습니다.
한국형 뉴딜은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 안전망’으로 구분
◆ 디지털 뉴딜
디지털과 비대면 산업 인력을 정부 차원에서 중점적으로 육성
주로 청년들을 중심으로 디지털 일자리 창출
◆ 그린 뉴딜
친환경, 저탄소와 같이 환경을 생각하는 산업을 육성
◆ 안전망 강화
산업 안전 및 취약 계층 지원
{정부 직접지원 일자리 사업 의미}
한국형 뉴딜 사업으로 고용, 사회 안전망 강화를 위해서 정부에서 직접
급여를 지급하는 일자리입니다.
정부 일자리인 만큼 많은 돈을 벌 수는 없지만 상대적으로 쉬운 일이면서
은퇴 후에 용돈 벌이로는 괜찮은 일자리라고 생각합니다.
55세 이상만 지원 가능하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퇴직한 인력들을
활용해서 산업 안전을 지키는 ‘안전보건지킴이’인데요 주로 건설업이나
조선업 관련한 일자리입니다.
{안전보건지킴이 의미}
현장 겸험이 있는 퇴직 인력을 활용해서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나 산업재해를 예장하고 취업이 어려운 중년 계층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으로 신중년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입니다.
{안전보건지킴이 역할}
- 전국의 건설 현장이나 안전, 조선업 분야 중에서 안전관리가 비교적 취약한
(120억원 미만) 중,소규모 산업을 대상으로 상시 순찰과 용접, 융단 등
화기사용작업을 감시하며
재해예방 전문지도기관 및 민간위탁기관 기술지도 실시 현장 중 고위험현장을
대상으로 지적사항에 대한 이행여부 모니터링을 실시
{안전보건지킴이 근무조건}
근무조건은 최저시급(8,750원) 기준으로 일급 7만원 이고 중식보조비로 13만원,
그리고 복지포인트로 1회에 40만원이 지급됩니다.
2인 1조로 근무하며 근무 기간은 4 ~ 10개월입니다.
{안전보건지킴이 신청 자격 및 가/감정사항}
신청 자격은 만 55세 이상으로 관련분야 경력이 있거나 관련 자격증 소유자 대상
기존의 정부 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없으면 가점이 되고, 독립유공자 또는
국가유공자 그리고 다음의 취업취약계층은 가점이 부여됩니다.
{안전보건지킴이 신청 방법}
신청 방법은 내일부터 채용공고가 나오고 신청서 접수가 시작되면 안전보건지킴이
사업참여 신청서와 주민등록등본, 해당 분야 경력증명서나 자격증을 희망근무지역의
공단 알선 기관에 방문, 접수 혹은 우편으로 접수하면 됩니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19 백신 부작용과 주의사항 총정리 (0) | 2021.08.03 |
---|---|
2022년 근로장려금 개정 (0) | 2021.08.01 |
7월 정부 지원 5대 생활요금 감면 신청 최대 9만원 (0) | 2021.07.29 |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생기는 이상반응 심근염, 심낭염 알아보기 (0) | 2021.07.28 |
50대 백신 접종 예약 방법 일정 알아보기 (0) | 2021.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