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증자 악재 의미와 유형과 특징
주식을 하다 보면 기업의 유상증자 공시가 갑자기 발표 되는데 이를 근거로 주가에 호재나 악재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유상증자 발표를 하고 늘어난 자본금으로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이것이 호재이지 악재인지
주식 시장에 반영을 하게 됩니다.
{유상증자 정의}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장 일반적인 자기자본의 조달 방식이다.
무료가 아닌 유료로 주식을 발행함으로써 기업 자산이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것인데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부채금융을 떨어내고 시설 확충이나 운영 자금등 목적으로 주식을 증자하는 방식이다.
유상증자의 유형은 주주배정방식, 주주우선공모방식, 제3자 배정방식, 일반공모방식으로 나뉜다.
{유상증자 유형과 특징}
주주 배정 방식
신주인수권을 기존 주주에게 배정하는 방식이며 시장에서 악재로 작용합니다.
주주우선공모방식
기존 주주와 우리사주 조합에게 우선 배정한 후 실권주가 발생하면 일반인들에게 공개 모집하는 방식이다.
제3자 배정방식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제3자에게 배정하는 방식인데 이는 기존 주주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때문에
시장에서 호재로 작용합니다.
일반공모방식
기존 주주에 대한 신주인수권을 배제하고 불특정 다수인에게 공개모집하는 방식이다.
주관사 증권회사에서 증자 총액을 인수한 후 일반인에게 공모하며,
공모 결과 실권주가 발생하면 주관사 증권회사에서 인수한다.
이 공시는 시장에서 최대 악재로 작용합니다.
물론 주주배정방식이나 일반공모방식이 악재로 작용 하지만 증자를 통한 자본금을 어디에 사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의미는 달라집니다. 여기에는 운영자금, 시설자금, 취득자금, 부채상환등이 있는데
운영자금은 (직원들 급여) 가장 큰 악재로 작용 하지만 나머지는 단기적 악재지만 장기적 호재로 작용합니다.
{유상증자의 과정}
신주발행에 대한 이사회 결의와 공시
주관사 회사와 인수 계약
.
증권신고서 제출
신주발행, 기준일 및 주주명부 폐쇄 기간 설정 공고
신주발행 의뢰
신주배당 청약
주권 용지 수령
주식의 효력 발생
{유상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유상증자는 단기적으로 주식수가 늘어나서 EPS(주당순이익)이 줄어들고
주식의 가치가 희석되어서 단기 악재로 작용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늘어난 자본금을 어디에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늘어난 자본금을 기업의 재무구조를 튼튼히 하고 각종 시설투자를 해서 사업을 확대한다면 괜찮은데
직원들 급여나 각종 경비 충당등 기업의 운영자금에 사용한다면 엄청난 악재로 생각해야 합니다.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기업이 인정받는 실력과 기술 그리고 미래 성장성이 높다면
시장에서 좋은 의미로 받아들일 거지만 그게 아니라면 좋지 않은 시선을 보이겠죠.
'주식 코인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 개미 주식 100억 만들기 법칙 (0) | 2021.07.22 |
---|---|
반드시 지켜야 할 주식 투자 성공하는 가치 투자 비법 (2) | 2021.07.06 |
무상증자 액면분할 호재 의미 (0) | 2021.06.27 |
델타 변이 바이러스 의미 증상 예방효과 백신관련주 알아보기 (0) | 2021.06.24 |
카카오 주가 미래 전망 및 증권사 목표 제시 이유 (0) | 2021.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