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1억 청년적금 계좌 가입조건 지원 내역 신청 기간 알아보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한 ‘1억 통장’이 젊은 청년들에게 화제라고 합니다.
‘1억 통장’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해 정부가 지원금을 주는 형태로 10년간 1억을
만들 수 있도록 하자는 개념입니다.
▶ 청년도약 계좌 의미
윤석열 청년적금 계좌는 소득 있는 만 19 ~ 34세 청년은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매달 일정 금액에 정부 지원금을 더해서 10년뒤 1억원을 만들어주는 의미입니다.
해당 정책은 국민의힘이 대선 전에 발표한 공약중에 하나입니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일정 한도내에 청년이 저축을 하면 정부가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자원금을 제공해 10년 만기 때 1억원을 마련해 준다는 취지인데,
자산 형성이 어려운 청년들을 위해 정부가 도움을 주지만, 아무 조건 없는 현금성
지원이 아니라 저축하면 지원하는 소득계좌라고 합니다.
▶ 청년도약 계좌 가입조건
청년도약 계좌는 연소득에 따라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연 소득이 2400만원 이하일 경우, 최대 월 납입액은 30만원이고 정부는 월 최대
40만원 지원금을 준다고 합니다. 결론은 월 30만원씩 적금을 넣어도 월 70만원씩
적금 넣는 효과가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금리는 3.5% 적용과 만기시 세금도
없다고 합니다.
연 소득이 2400만원 ~ 3600만원 이하일 경우, 월 납입 한도는 50만원이고, 지원금은
월 최대 20만원입니다. 나머지 내용은 같습니다.
연 소득이 3600만원 이상일 경우, 정부 지원금은 10만원입니다.
연 소득이 4800만원 이상일 경우, 정부 지원금은 없지만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이
있다고 합니다.
▶ 청년도약 계좌 유의할 점
다른 정부 재정 지원의 유사 제도와 중복 가입은 안 된다고 합니다.
최근에 인기 있었던 청년희망 적금과 중복 가입은 불가합니다.
▶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 적금과의 차이점
최근 폭발적인 인기를 끈 청년희망 적금과 유사한 구조지만 지원 대상이 확대됐습니다.
청년희망 적금은 연간 총 급여가 3600만원 이하인 청년이 대상이었으나, 청년도약 계좌는
가입에 연봉 상한이 없습니다. 대신 연 소득 4800만원 이상인 청년에 대해선 직접 장려금을
지급하지 않고 비과세·소득공제 혜택을 줍니다.
다만 실질적으로 금융지원이 필요한 청년을 걸러내기 위해 개인소득 외 가구소득·재산을
꼼꼼히 살핀다고 합니다.
'정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원 화천대유 50억 곽상도 의원 구속영장 소명 부족 기각 결정 (0) | 2021.12.02 |
---|---|
5차 재난지원금 추가 확정 건강보험료 기준 (0) | 2021.07.26 |
5차 재난지원금 추가 지급 방식 대상 시기 중요한 점 (0) | 2021.07.24 |
이재명 청년 기본소득 대선공약 200만원 (0) | 2021.07.23 |
2022년 최저임금 9,160원 인상에 대한 찬반 대결 (0) | 2021.07.15 |
댓글